5060 소비력 커질 때, 40대는 허리띠 졸라맸다

저출생·출산연령 등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소비 변화도 ‘뚜렷’ 

 

최근 50대 이상의 소비 증가세가 두드러지면서 경제의 주축으로 급부상했다. 반면, 40대는 대부분 업종에서 위축된 소비 패턴을 보였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40~60대의 소비 트렌드를 심층 분석한 이러한 내용의 ‘서울시 중장년 소비 및 정보 활용 트렌드 분석’ 연구보고서를 9일 발행했다. 이번 연구는 5년간의 국민카드 업종별 소비 데이터를 모아 중장년 세대의 소비액과 소비건수 규모를 비교, 분석한 결과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50대 이상의 소비 금액과 건수는 2019년에 비해 모두 증가했다. 2019년과 비교했을 때, 20~24세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소비 금액이 증가했지만, 그중에서도 ▲50~54세는 51.0% ▲55~59세는 57.5% ▲60~64세는 63.1% 증가했다. 이는 20~24세(64.2%)를 제외하고는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소비 건수 증가율도 50대 이상이 높았다. ▲50~54세는 49.2% ▲55~59세는 62.3% ▲60~64세는 65.4% 증가해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소비액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0대 이상의 소비 증가율은 온라인 업종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나이가 많을수록 증가 폭도 커졌다. ▲50~54세는 119.2% ▲60~64세는 141.7%의 증가율을 보여 온라인 시장에서도 시니어 소비층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저출생과 출산연령 증가 등 인구구조 변화로 인한 소비 변화도 눈에 띄었다. 출산연령의 증가 등으로 2019년에 비해 50대 초반의 교육비 부담 증가가 크게 늘었는데, 학습지·학원뿐만 아니라 초·중·고등학교 소비액 증가율도 40대와 60대에 비해 높았다. 

60대 초반은 복지센터, 평생교육원 등을 포함한 문화센터에 대한 소비액과 소비 건수 증가율이 높아 교육에 대한 열의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40대는 대부분 업종에서 소비 금액 증가율이 둔화하거나 감소하는 등 위축된 소비 패턴을 보였다. 이는 경제적 부담과 가계구조 변화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50대 이상이 증가 추세를 보인 유통 업종에서 소비액이 감소(-12.3%)했고, 식생활 업종에서는 40대(18.5%)가 30대(37.6%)보다도 낮은 증가율을 보여 대부분의 분야에서 절약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정책연구팀 하재영 책임은 “중장년이 적극적인 소비자로 변모하고 있다. 이는 중장년의 가계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며, “이들의 소득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중장년 소비 수준과 기대 소득을 고려한 소득 안정화 방안과 연령대별 소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온라인 소비 활성화에 따른 신직업 창출 및 경력 설계 프로그램 확대를 주요 과제로 설정했다고 밝혔다. 중기이코노미 김범규 기자

<저작권자 ⓒ 중기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