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규제 강화 등 통상 리스크 주의…시장 리스크도 확인 필요 

최근 수년간 미중갈등이 이어지면서 가장 주목받은 투자처는 베트남이다. 이전부터 많은 기업들이 베트남 진출을 해왔는데, 최근 탈중국 추세의 영향으로 베트남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베트남 진출의 많은 장점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막상 진출 준비에 들어가면 생각지 못한 리스크들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지난 13일 발표한 ‘공급망 다변화의 수혜주 베트남, 기회와 리스크는?’ 보고서에서, 이유진 수석연구원은 “최근 베트남을 상대로 한 수입규제가 강화되는 등 통상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으며, 베트남에 내재된 시장 리스크도 주의를 요하고 있어, 베트남 진출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과 기진출 기업 모두 리스크 점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가 지적한 통상리스크는 수입규제 외에 주요 국가들의 상계관세나 우회조사 증가 등이 있다. 시장리스크는 시장규모를 비롯해 베트남 국가의 특징적인 리스크다.

◇베트남 투자를 둘러싼 통상 리스크= 베트남은 중국, 미국에 이어 3대 수출 대상국으로 한국의 수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크다. 한국의 대베트남 수출은 2010년 97억달러에서 2020년 485억달러까지 연평균 17.5%의 높은 증가세를 이어왔다. 그 결과 한국의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2.1%에서 2020년 8.9%까지 크게 확대됐다.

한국 기업들의 베트남 진출도 계속해서 증가했다. 2019년에는 대베트남 투자액은 6억6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미국 지역 투자에 이어 2번째로 높은 수치다. 전체 해외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 수준이다. 반면 중국 지역에 대한 투자 비중은 2012년 17.3%를 정점으로 2019년 7.1%까지 하락했다.

2020년 베트남 진출 기업 수는 3234개에 이르러 중국 진출 기업 수(2233개)를 넘어섰다.

그러나 보고서는 전세계에서 베트남을 대상으로 한 수입규제가 증가함에 따라 통상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덤핑을 비롯한 무역구제조치 신규조사가 베트남을 대상으로 급증해, 2020년에는 총 27건으로 역대 최다건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미중갈등 이후 중국의 대체 수입처로 베트남이 부상해 무역적자가 심화되자, 미국이 베트남에 대한 수입규제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반덤핑 판정에서 불리하고, 덤핑 혐의가 인정될 경우 덤핑마진율이 높게 책정된다는 점도 문제다. 원인은 베트남이 중국과 마찬가지로 비시장경제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미국, EU 등 일부 WTO 회원국들은 국내법에 따라 비시장경제 국가를 지정하고 이들 국가에 속한 기업이 정부로부터 독립되어 있음을 입증하지 못할 경우, 해당기업이 제출한 자료가 아닌 불리한 가용 정보를 적용해 범국가세율을 부과하고 있다.

베트남을 통한 우회수출에 대해 미국 등이 경계를 높인다는 점도 문제다. 중국산 제품들이 무역규제를 우회하기 위해 제3국을 거쳐서 수출하는 경우가 늘어나자 미국과 EU가 베트남의 수출품에 우회조사를 늘린 결과다.

한국 역시 우회수출 조사의 대상이 됐다. 한국산 원재료를 이용해 베트남에서 생산되는 제품에 대해 미국은 한국에 부과한 관세를 회피한 것으로 보고 우회덤핑이나 상계관세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보고서는 이같은 통상리스크 극복을 위해, 각국의 수입규제 조치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 중국산 재료 이용 시 우회덤핑 조사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원재료와 부품조달을 다각화하는 계획을 수립하는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생산시설 확보 경쟁 치열=보고서는 통상리스크와 함께 베트남 내부의 시장리스크에 대한 대응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산업단지와 항만 등 생산시설 확보를 위한 경쟁이 치열해졌다는 점이 첫 번째 문제다. 미중 무역전쟁 와중에 생산기지를 베트남으로 이전한 기업이 급증한 탓이다. 공급 부족에 따라 산업단지 임대료가 높아지고 있으며, 컨테이너 물동량이 늘어나 항구내 적체현상도 심화되고 있다.

인력공급이 수요에 미치지 못해 베트남 진출 기업간에 숙련 노동력 확보 경쟁이 벌어진 점도 리스크로 꼽힌다.

보고서는 이런 문제점에 대응하기 위해, 베트남 진출 기업들은 현지 협력업체와의 우호적 관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또 신규 진출을 추진 중인 기업은 리스크를 고려해 제반비용 분석을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중기이코노미 이창호 기자

<저작권자 ⓒ 중기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