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보조금 570억원 지원으로 복귀기업 국내 정착 지원 


지난해 국내 복귀기업 숫자와 투자규모가 역대 최대규모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1년 해외진출기업의 국내복귀는 26개사였다. 이는 단일연도 기준 역대 최대실적이다.

해외진출기업복귀법이 만들어진 2014년부터 2020년사이 연평균 국내복귀 기업 수는11.7개 수준이었다. 2017년부터 2020년 사이 4년간은 매년 13개가 국내로 복귀했는데, 2020년 24개로 증가한 뒤 지난해 증가폭이 더욱 늘었다.

투자규모 또한 6815억원으로 2020년보다 22% 증가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산업부는 대규모 투자 기업 수와 평균 투자금액도 2020년보다 증가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100억원 이상 투자하는 기업 수는 18개로 1년 새 5개사가 늘었다. 비중도 69.2%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복귀기업당 평균 투자금액은 262억1000만원으로 2020년(231억6000만원)보다 15.3% 증가했다.

고용규모 역시 1820명으로 2020년보다 55%가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대규모 고용 기업 수와 기업당 평균고용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100명 이상 고용 기업 수는 6개로 2020년보다 3개가 늘었고, 10명 미만 고용 기업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귀기업당 평균 고용규모는 70명으로 1년 새 43.7% 증가했다. 2019년 20.9명이던 평균 고용규모는 2020년 48.7명으로 133% 늘어난 뒤, 지난해까지 증가세를 이어갔다.

투자규모와 고용규모 증가는 복귀기업의 질적 수준 제고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복귀기업 중 중견기업의 비중이나 고용규모가 크게 늘어났다는 의미다. 지난해 국내 복귀기업 중 중견기업의 비중은 34.6%(9개)로 2020년보다 9.6%p 늘어난 역대 최고치였다.

산업부는 이차전지소재, 친환경차량용 희토류영구자석 등 공급망 핵심품목 생산업체 복귀로 공급망 안정에도 기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업종별로 보면 자동차(6개), 전기전자(5개), 금속(3개) 등 주력업종이 전체 복귀기업 중 69.2%(18개)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귀지역은 경남이 8개로 가장 많았고 충남(6개), 경북(3개)·대구(3개)가 뒤를 이었다.

진출국가는 중국이 18개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4개)을 포함하면 중국·베트남으로부터의 복귀기업이 80% 이상을 차지했다.

◇해외 원가상승·한국 내수시장 확대 영향=국내 복귀기업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 국내 복귀 결정은 해외진출의 부정적 요인과 국내 복귀의 긍정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요인으로는 해외 생산물가 상승, 현지 경영악화, 현지 규제강화가 주된 요인으로 꼽혔다. 국내 복귀 긍정요인으로는 한국 내수시장 확대, Made in Korea 효과, 국내 우수인력 활용, 생산성 향상 및 고부가가치화 등의 요인이 지목됐다.

정부도 국내 복귀기업에 대한 지원책을 적극적으로 펴나가고 있다. 첨단업종·핵심 공급망 품목에 대한 해외사업장 축소요건 면제, 지원대상 업종 확대, 비수도권 사업장당 투자보조금 한도 및 지원비율 상향 등을 시행 중이다.

산업부는 국내 복귀기업이 경제회복과 고용창출, 공급망 안정화에 효과가 큰 만큼, 앞으로도 지원제도 활용 및 유치활동을 통해 해외에 진출한 우량한 국내기업의 복귀 확대를 적극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복귀기업을 지원하는 국내복구보조금은 2022년에 570억원을 편성해 국내 복귀 기업을 적극 유치하고 복귀기업들의 안정적인 국내 정착을 지원한다. 2020년 200억원이던 보조금은 지난해 500억원으로 대폭 늘어난 뒤 올해 재차 증가했다.

또 유관기관·업종별 협단체와 협업해 의향기업 유치 설명회 개최, 코트라 해외무역관을 통한 대내외 홍보 및 IR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중기이코노미 이창호 기자
<저작권자 ⓒ 중기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