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줄고 채산성 악화까지…위기의 한국수출

원자재 가격 상승, 금리·공공요금 인상 ‘삼중고’ 부담

 

“정부는 어려운 대외여건 속에서도 조속한 수출 반등을 위해 … 등 수출 인프라를 보강하는 방향으로 전부처가 총력 지원하고 있습니다.”

지난 5월17일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정부가 수출지원에 모든 정책적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지만, 수출 감소에는 전혀 제동이 걸리지 않고 있다. 

5월 들어 수출이 8개월 연속으로 감소했고, 무역적자는 15개월째 이어졌다. 

1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 5월 통관기준 수출은 522억 달러, 수입은 543억 달러를 기록했다.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2%로 크게 줄어들었다. 지난해 10월부터 시작된 수출 감소가 올해 2분기까지도 끝나지 않고 있는데, 특히 올해 들어 2월을 제외한 모든 달에서 수출이 지난해보다 두자릿수로 크게 감소한 점이 문제다. 

무역적자는 지난해 3월부터 시작돼 해를 넘겨 이어지고 있다. 5월에는 21억 달러 적자를 기록해, 올해 누적 무역적자는 벌써 273억 달러를 기록했다. 올해 절반도 가기 전인 5월에, 사상최대라는 지난해(478억 달러) 무역적자 규모의 절반을 훌쩍 넘어섰다. 

문제는 이같은 수출 감소의 끝이 보이지 않는다는데 있다. 주력산업 수출기업들은 하반기에도 수출 감소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반기에도 수출 감소…채산성 악화 우려=1일 전경련에 따르면,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5월 중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12대 수출 주력업종 기업 150개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응답기업의 46.7%가 올해 하반기 수출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하반기 수출이 지난해 하반기보다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한 이유로는 주요 수출 대상국의 경기 부진이란 응답이 35.7%로 가장 많았다. 또 미중 패권경쟁에 따른 공급망 애로(21.4%), 원자재 가격 하락 등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18.6%) 등의 응답도 많았다. 

반대로 올해 하반기 수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한 기업들은 주요 수출 대상국의 수요 개선(60.0%), 생산 및 물류 차질 해소(21.3%) 등을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수출 감소와 함께 채산성 악화 전망이 우세한 점도 문제다. 가장 많은 45.4%는 채산성에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내다봤지만, 수출 채산성이 악화될 것이란 응답(39.3%)이 개선될 것으로 응답(15.3%)한 경우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채산성 악화 전망이 많은 업종으로는 전기·전자(50.0%), 일반기계(44.8%), 석유화학·석유제품(42.4%), 바이오헬스(42.3%) 등이 있었다. 

수출 채산성 악화 요인으로는 원유·광물 등 원자재 가격 상승(37.3%), 금리 인상 등으로 인한 이자비용 상승(22.0%), 전기·가스·수도 등 공공요금 상승(16.9%)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원자재 가격과 금리 인상, 공공요금의 삼중고에 수출기업들이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의미다. 

◇“공급망 애로 해소 위한 외교적 노력해야”=수출기업들은 원달러 환율의 올해 하반기 최고가를 평균 1355.9원으로 전망했다. 1325~1350원대라는 응답이 38.0%로 가장 많았고, 1375~1400원대(20.0%), 1350~1375원대(16.0%)라는 전망이 뒤를 이었다. 1400원을 넘어설 것이란 응답도 12%에 달했다. 

환율이 고점으로 치솟을 경우 수출 채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묻는 질문에는 50.0%가 채산성이 개선된다고 답했다. 이어서 영향이 없다(34.0%)와 채산성이 악화된다(16.0%)의 순이었다. 

하반기 수출 감소를 전망한 기업들은 수출 부진 대응전략으로 공장운영비·판관비 등 비용절감(44.3%), 수출시장 다변화(27.1%), 공급망 재편(15.7%) 등을 검토 중이라고 응답했다.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정책 우선순위로 원자재 수급 관련 세제 지원(44.0%), 공급망 애로 해소를 위한 외교적 노력 강화(23.3%), 수출물류 차질 방지를 위한 지원(12.0%), 외환변동성 완화 조치(12.0%), 수출 신용보증·보험 등 확대(6.0%), 지역별 맞춤형 수출정보 제공(2.0%)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중기이코노미 이창호 기자

<저작권자 ⓒ 중기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