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3구만 30조…전세만료보증금 역대 최고

직방 “임대인 상환능력 살피는 등 대비 필요”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 상반기까지 1년간 전국의 전세계약이 만료되는 보증금 규모가 300조원을 넘어선다는 분석이 나왔다.

19일 직방에 따르면, 전세계약기간이 2년인 경우 2023년 하반기 계약이 만료되는 2021년 하반기 전국 주택전세거래총액은 149.08조원으로 나타났다. 2024년 상반기 계약이 만료되는 2022년 상반기 전세거래총액 153.09조원까지 더하면 향후 1년간 전국의 전세계약이 만료되는 보증금 규모는 302.1조원에 달한다. 

이는 2011년 실거래가 공개이후 집계된 거래액으로는 최고치다. 2011년 상반기부터 2013년 하반기 사이 44~51조원 규모였던 전세거래 총액은 2014년 상반기 57조원을 넘어서며 급상승했고,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며 2017년 상반기에는 70조원을 돌파했다. 또, 2019년 하반기에는 100조원대에 올라선 뒤 2022년 상반기에는 150조원 이상을 기록했다. 

주택유형별 2021년 하반기~2022년 상반기 전세거래총액은 아파트가 228.38조원으로 전체 전세거래총액의 75.6%를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연립다세대 33.42조원(11.1%), 단독다가구 22.81조원(7.5%), 오피스텔 17.56조원(5.8%)으로 조사됐다. 

전체 전세거래에서 아파트 외 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이 25% 수준이지만, 직방은 “최근의 전세보증금 미반환사례가 아파트 외 주택에서 집중되는 만큼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수도권 233조원 집중…강남3구에만 30조원 이상=시도별로 향후 1년간 전세계약이 만료되는 전세보증금 총액은 서울이 118.68조원으로 가장 많았다. 또 경기 98.93조원, 인천 15.82조원 등 수도권에서만 233.43조원(77.3%)이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수도권에서는 부산의 전세계약 만료 보증금 총액이 12.17조원으로 유일하게 10조원 이상을 기록했다. 

부산 외에 경남 7.77조원, 울산 2.80조원으로 부울경권역도 22.75조원(7.5%) 규모의 보증금이 전세계약 만료될 것으로 전망된다. 충청권은 대전 6.32조원, 충남 5.56조원, 충북 4.21조원, 세종 2.75조원으로 전체 18.84조원(6.2%)으로 추정된다.

시군구별로 보면 강남3구의 향후 1년간 전세계약 만료 보증금 총액이 30조원 이상인 것으로 집계됐다. 강남이 13.21조원으로 가장 많고, 송파 11.60조원와 서초 9.25조원 등 강남3구에서만 34조원 이상의 계약이 만료 예정이다. 그외 강서 7.47조원, 강동 6.55조원 등의 규모가 컸다. 

경기·인천에서는 성남 분당이 9.17조원으로 가장 많은 보증금의 전세계약 만료를 앞두고 있다. 서울 강남 3구를 제외하고 단일 시군구로는 가장 큰 규모다. 그 다음으로 경기 화성 6.55조원, 경기 남양주 5.73조원, 경기 용인(수지) 4.91조원, 경기 부천 4.59조원 순이다.

비수도권은 전세계약만료 보증금 상위 지역이 충청권에 집중돼 있다. 전세계약이 만료되는 보증금 규모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은 대전 서구가 2.52조원이며, 그 다음으로 대구 수성 2.38조원, 충남 천안(서북) 2.22조원, 대전 유성 2.11조원, 부산 해운대 1.97조원 순이다.

◇1분기 주택담보대출의 40% 규모=직방은 향후 1년간 만료 예정인 전세보증금의 규모가 2023년 1분기 기준 가계신용 1853.9조원의 16.3%에 달하며, 주택담보대출 750.2조원의 40.3%에 달하는 규모라고 지적했다. 

또, “300조원 규모의 전세보증금이 1년간 일시에 모두 반환되지는 않겠지만 전세거래보증금거래총액이 줄어들고,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도 2년전에 비해 13.5% 하락한(직방RED 아파트 전세가격 지수 2023년 5월 기준)상황을 감안하면 전세보증금 미반환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 “계약종료 전세보증금이 아직 최대 수준이 아닌 2023년 상반기 상황에서도 보증금 미반환 규모는 더 커지고 있다”면서, “올해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에 역대 최대 규모의 전세보증금 계약만료가 예상되는 만큼 임대인의 상환 능력을 살피는 등 대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중기이코노미 이창호 기자

<저작권자 ⓒ 중기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