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 협력 ‘중점·전략·미래’로 나눈 전략 필요

“10개국 특성 감안”…디지털, 전기차, 스마트시티 수요 창출도 

 

중국에 이어 최근 아세안 교역도 감소세를 보이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디지털, 전기차, 스마트시티 등 미래분야 협력을 통해 신규 경제교류 수요를 창출하고, 아세안 맞춤형 수출전략도 수립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이재호 선임연구원은 ‘최근 한국의 對아세안 교역투자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향후 글로벌 수요가 회복될 경우 아세안 생산네트워크 활성화로 인한 수출반등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최근 인도네시아에서 진행되고 있는 자동차, 배터리 등 대규모 신규투자 프로젝트로 구축된 생산네트워크의 활성화로 인한 교역확대도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이에따라 주요 지역별 특성을 감안한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최대 교역대상국으로서 중국의 입지는 변하지 않았으나, 최근 대중국 무역수지가 지속 감소해 적자로 전환됐다. 대아세안 교역 역시 2021~2022년 기간 최대 규모의 교역과 무역수지 흑자를 갱신해왔으나, 지난해 4분기부터 글로벌 수요부진 등으로 인해 생산네트워크가 위축되면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베트남 교역 감소인도네시아는 증가세=코로나19 팬데믹 이후 3년간 기존 최대 투자대상국이었던 베트남에 대한 투자가 크게 감소했다. 반면 그동안 투자 비중이 미약했던 인도네시아에 대한 투자 비중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한국의 베트남·싱가포르 교역은 전체 아시아 무역 규모 중 79%에서 65%로 줄었다. 반면 인도네시아에 대한 투자 비중은 코로나19 이전 10%에서 2021년 20%까지 늘었다.

업종별로 아세안 투자를 살펴보면 제조업이 약 35%, 금융보험이 약 25%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그러나 2020년 코로나19 발생으로 제조업에 대한 투자가 감소한 후 일부 반등했고, 금융·보험에 대한 투자는 2021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특히 대아세안 제조업 투자에서, 베트남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62.3%에서 2021년 40.5%까지 줄어든 후 2022년 50% 수준까지 회복됐다. 인도네시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11.4% 수준이었지만, 이후 지속적으로 늘어 2022년 29.3%로 비중이 확대됐다.

보고서는 팬데믹 기간 베트남 정부의 강력한 방역정책과 글로벌 수요부진 영향으로 대베트남 제조업 투자가 지연됐다고 분석했다. 또, 최근 글로벌 수요위축 영향으로 베트남의 최대 수출품목인 휴대전화 생산에 사용되는 전자집적회로, 평판디스플레이 등 주요 중간재 수출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했다. 반면, 인도네시아의 경우 최근 수년간 코로나19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한국 기업들이 자동차, 배터리 등의 분야에서 대규모 신규 투자를 진행해온 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했다.

주요 지역별 특성 감안한 맞춤형 전략 필요=보고서는 정부의 수출전략회의에서 제시된 기본방향과 실행계획을 기반으로 주요 지역별 특성을 감안한 맞춤형 전략을 추가한 종횡(縱橫)형태의 정책 매트리스를 구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부는 최근 대아세안 특화전략인 ‘한-아세안 연대구상(KASI, Korea-ASEAN Solidarity Initiative)’의 3대 비전인 자유·평화·번영 중 ‘번영’을 기치로 아세안과의 협력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번영 분야는 ▲디지털, 전기차, 스마트시티 등 미래 분야 협력, 통상 및 경제안보 네트워크 강화 ▲기후·환경 등 국제적 도전과제 대응 및 소지역 협력 ▲차세대 교류 및 인적 자원 육성 ▲대아세안 ODA 확대 및 관련 재원 확충 등 4대 중점 추진과제로 구성됐다.

보고서는 아세안 10개 국가별 특성 및 한국과의 관계를 감안해, ▲중점협력국 ▲전략협력국 ▲미래협력국 등으로 나눠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이를 위해 아세안의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산관학 형태의 수출 투자 정책연구를 선행해야 하며, 다양한 분야에 걸친 현업의 의견을 신속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회의 또는 대화체 운영도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와함께 보고서는 4대 중점 추진과제 가운데 특히 디지털, 전기차, 스마트시티 등 미래분야 협력을 통한 신규 경제교류 수요 창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중기이코노미 채민선 기자

<저작권자 ⓒ 중기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